카테고리 없음

NXT Review

Adropink 2013. 5. 25. 20:14
728x90
반응형


3. 뛰어라 토깽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볼까합니다.
갑자기 웬 뜬금 없는 토깽이? 찬찬히 읽어 보면 토깽이도 나옵니다^^

프로그래밍하면 공대생들이나 다루는 외계어 혹은
지루하고 골치아프다 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더러 있으시지만

약간의 '논리적 센스'와 8527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툴'만
있다면 재밌는 만드놀이를 할 수 있을 거라 장담합니닷^^

날고 기는 레고사라도 만들어 봤자 장난감아니겠습니까?^^

제공하는 씨디를 설치하고 나면 요런 아이콘이 생기지요



실행을 시키면 요런 화면이 뜹니다.



척 보면 이러쿵 저러쿵 말도 많고 그림도 많은데
간단한 사용법과 몇가지 인스트럭션에 관한 내용인데
대충 둘러 보면 감이 오도록 잘 만들어져있습니다.. 별거 없군요 Skip!!


Start new program 옆의 GO를 누르면 새 페이지가 열립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짜 볼 수 있는 작업판이 생긴 것이지요
딱보니 왼쪽의 메뉴와 보이는군요 가운데 'ㅏ'모양의 브릭이 있습니다.



아마도 프로그램은 여기서 부터 시작한다는 뜻일테지요

음 그럼 뭐 부터 해볼까나?

왼쪽의 메뉴를 보니 사운드 블럭이 있습니다.
이걸 끌어다가 시작점에 놓으면 자석에 끌리듯 철썩 붙습니다. 오오...




자 그럼 프로그램 완성!!!
단순하지만 그래도 프로그램입니다.^^;

이제 NXT를 USB로 PC와 연결하면 고맙게도 알아서 연결이 되어있네요

downroad and run 버튼을 누르면 NXT에 새생명이 들어갑니다.




그리곤 바로 반응이 옵니다.

구웃 쪼옵~(good job) 완벽한 영국놈 영어 발음이..-_-;;

어쨌거나 클릭 몇번으로 로봇이 말을 하게 하다니.. 대단하지 않습니까?

그럼 옵션을 살살 건드려 볼까요?

다음과 같은 옵션들이 있는데
한반씩만 건드려 보면 알만한 것들이네요

일단 소리를 바꿔봅니다.
file 항목에서 what_fx 를 선택하면 '워엇트' 하는 영국놈 발음이




혹 따라 하실분이 있을 까봐...아마 이파일은 없으실 겁니다.
이쪽으로 들어 가서 다운 받은 파일중에 들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쪽에서 재미있는 소리들이 업데이트 될듯



시작하자 마자 소리 나면 재미 없으니
내가 한마디 하면 대답하는 시츄에이숀을 만들어 봅시다

어떻게? 이역시 블럭 하나면 오케이!

wait 탭에서 sound 블럭을 끄집어다 아까 블럭 앞에 붙여 주시고



옵션 창에서 port는 1번으로 해주시고



본 블럭은 소리센서에 일정량 이상의 소리가 들어 올때까지
프로그램 진행을 막고 있으라는 블럭입니다.


NXT 1번포트에는 소리 아줌마 달아 줍니다.



그리고 실행하면...

당연히 아무 반응이 없겠지요

한마디 해줍시다.."야"

NXT의 대답 "what(워엇트)" 합니다.

야 하자 마자 바로 실행되는 터라 what소리가 제소리에 뭍히는 군요

그럼 wait 블럭을 하나 더 넣어주면 됩니다. 요렇게



이제 실행해서 '야'해보면 뜸 좀 들이고...'what'합니다.

이제 좀 감이 오시는지? ^^

이쯤에서 내가 직접 만든 소리를 쓰고 싶다는 생각이 안드시나요?

NXT에서 지원하는 소리 파일인 rso 파일로 변환해주는 툴이 있더군요

BrixCC 라는 프로그램에 wave 파일을 rso 파일로 변환해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걸 이용하면 현영 목소리나는 NXT도 기대해 봄직합니다.^^




그럼 이번엔 display 블럭을 좀 가지고 놀아 보겠습니다.
NXT LCD에 뭔가를 그려주는 혹은 글씨를 써주는 블럭인데 일단 다음과 같이 붙여 놓고 실행해보면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지금의 프로그램은 시작하자마자 끝나도록 되어 있거든요

그럼 끝나지 않고 계속 돌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loop 블럭 입니다.

요렇게 만들고 그림과 루프 옵션을 주고 wait 블럭도 넣어 줍니다.
루프가 10번 반복되고 wait 블럭에서 1초가 지연되므로
10초 정도 그림이 보이겠군요^^



그리고 실행해보면 NXT가 활짝 웃고 있는 걸 기분 좋아 집니다.





이쯤되니 그림을 움직여 보고 싶은 생각 안드세요?


다음과 같이 display와 wait 블럭을 복사해서 붙여준뒤 두번째 display 블럭의
옵션에서 file을 smile02로 설정 해주고 실행하면!









자 탄력 받은 김에 하나 더!!
데이터 허브라는 것을 써봅니다.

블럭 밑을 클릭하면 뭐 쭉~ 나옵니다.



요녀석은 프로그램이 도는 동안에 블럭의 옵션을 바꿀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녀석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짜주면



이런 장면이 나오지요


힘내라 달팽이!!

루프 도는 횟수를 달팽이 위치로 사용하도록 한것입니다.




이 데이터 허브를 이용, 마지막 뽀나스 하나 더 나갑니다.



뛰어라 토깽이!!




728x90
반응형